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티스토리챌린지
- Expectation Maximization
- 윤리 및 안전
- python#yaml#가상환경#파이썬
- Closed Form
- lccm
- regret-minimization
- latex#티스토리#tistory#대학원#논문#논문정리
- 닫힌 해
- 연구
- em알고리즘#expectation maximization#algorithm
- journal club
- 옌센 부등식
- 젠센 부등식
- DCM
- 나비에 스토크스
- 대학원
- jensen's inequality
- 카이스트
- discrete choice model
- 볼록 함수
- 논문 리뷰
- EM 알고리즘
- choice model
- convex
- Python
- 안전교육
- 넘파이
- numpy
- 통계
- Today
- Total
목록미팅 내용 정리 (3)
대학원생 리암의 블로그
정우 선배가 발표. 상급병원의 쏠림 현상을 공급자/수요자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고 공급자 측면에서 살펴보는 것을 이지수 선배님이 다루고 김정우 선배님은 수요자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함. 의료 보장성 강화를 정책의 활용성에 대한 기초를 다루기 위해 개개인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target audience 및 특정 계층에 policy intervention이 가지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음. 여러 멤버로 나눠서 어떤 latent 모델에 속하는지 파악하고 discrete choice model중에 data driven한 utility maximization을 사용하고자 함. Random Utility Theory가 있다. 이는 총 utility는 obsereved utility와 unobserved..
준석이가 대체 가능한 alternative들이 있는 상황에서의 discrete choice model에 대해서 발표했다. 저번 주 정우형이 발표한 choice 모델과 연결되었으며 다시 언급된 부분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서 적어보면 1. Random Utility Theory. 이는 총 utility는 obsereved utility와 unobserved utility로 나눠진다는 이론이다. 따라서 우리는 observed된 내용을 통해 unobserved 측면까지 estimate을 하고자 한다. 2. Gumbel 분포에 대한 언급. Unobserved된 부분이 independently and identically "Gumbel" distributed라고 했는데 Gumbel분포에 대한 공부가 필요할 것 같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