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젠센 부등식
- Closed Form
- jensen's inequality
- 대학원
- lccm
- numpy
- 나비에 스토크스
- 논문 리뷰
- 닫힌 해
- EM 알고리즘
- 안전교육
- 윤리 및 안전
- choice model
- em알고리즘#expectation maximization#algorithm
- regret-minimization
- Python
- 연구
- 티스토리챌린지
- discrete choice model
- python#yaml#가상환경#파이썬
- 통계
- Expectation Maximization
- 넘파이
- 볼록 함수
- latex#티스토리#tistory#대학원#논문#논문정리
- DCM
- 카이스트
- 옌센 부등식
- convex
- journal club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discrete choice model (1)
대학원생 리암의 블로그

Discrete Choice Model(이하 dcm)은 decision maker가 여러가지 alternative 중에 한가지를 선택하는 방법을 모델링한다. Decision Maker에게는 선택 가능한 대안들의 집합인 Choice Set이 주어진다. Set 내의 alternative들은 다음과 같은 성질을 띈다: 1. Mutual Exclusivity (상호 배타성): 한 대안을 선택하면 다른 대안은 선택할 수 없음2. Exhaustiveness (완전성): 모든 가능한 대안이 포함되어야 함3. Finiteness (유한성): 대안의 수가 유한해야 함 유한성 조건이 일반 회귀 모형과 DCM을 구분짓는 특징이다. 각 decision maker {n}은 각 alternative j에 대해 $U_{nj}$의..
대학원
2024. 9. 10. 14:02